Skip to main content

마이클 조던 목차 어린 시절 대학 시절 1980년대 : 데뷔와 신인왕 등극, 이어지는 득점왕의 향연 1990년대 : 1차 은퇴와 2번의 3연패, 최고의 전성기 2000년대 : 2차 은퇴와 복귀, 그리고 황제의 마지막 시즌 분석 및 평가 조던의 자녀들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마이클 조던NBA History: Jordan bio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마이클 조던The Baseball CubeBaseball-Reference (Minors)Michael Jordan MotorsportsWorldCat114945073n860201980000 0001 1455 4934119184486032511205cb139910665(데이터)269296b7ca527-582f-4792-a114-a8381b3c206e00514147js20080215004XX1017832

마이클 조던196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농구 선수슈팅 가드시카고 불스 선수워싱턴 위저즈 선수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선수미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올림픽 농구 메달리스트1984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1992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미국의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1984년 하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1992년 하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미국의 팬아메리칸 게임 금메달리스트미국의 팬아메리칸 게임 농구 참가 선수1983년 팬아메리칸 게임 농구 참가 선수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전미 농구 협회 영구 결번여러 종목에서 활동한 스포츠 선수브루클린 출신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동문아프리카계 미국인 농구 선수FIBA 명예의 전당 헌액자미국의 투자가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동문하일랜드파크 (일리노이주) 출신


1963년2월 17일미국농구NBA2003년NBA샬럿 호네츠NBA G 리그그린즈버러 스웜1963년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제임스 워디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시애틀 슈퍼소닉스패트릭 유잉뉴욕 닉스조지타운 대학교1984년시카고 불스워싱턴 위저즈보스턴 셀틱스래리 버드시카고 불스찰스 오클리스카티 피펜호레이스 그랜트1991년매직 존슨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1992년클라이드 드렉슬러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찰스 바클리케빈 존슨피닉스 선즈시카고 화이트삭스1995년데니스 로드먼1996년숀 켐프게리 페이턴시애틀 수퍼소닉스칼 말론존 스탁턴유타 재즈시카고 불스크로아티아워싱턴 위저즈나이키윌트 체임벌린인디애나 페이서스도미니크 윌킨스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3.1%EC%9A%B4%EB%8F%99_100%EC%A3%BC%EB%85%84_%EA%B8%B0%EB%85%90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E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C/au003E(~4.11) 오프라인 모임이 4월 7일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pu003E3월 30일 서울에서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8%A4%ED%94%84%EB%9D%BC%EC%9D%B8_%EB%AA%A8%EC%9E%84/2019%EB%85%84_%EB%8F%85%EC%84%9C_%26_%EA%B3%B5%EB%8F%99_%ED%8E%B8%EC%A7%91" title="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19년 독서 u0026amp; 공동 편집"u003E2019년 독서 u0026amp; 공동 편집 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pu003E3월 30일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8%A4%ED%94%84%EB%9D%BC%EC%9D%B8_%EB%AA%A8%EC%9E%84/2019%EB%85%84_3%EC%9B%94_30%EC%9D%BC_%EB%8C%80%EA%B5%AC" title="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19년 3월 30일 대구"u003E대구광역시에서 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마이클 조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마이클 조던
Michael Jordan


마이클 조던 (2006년)

샬럿 호니츠
포지션
구단주
(선수 시절: 슈팅 가드)
리그
NBA
개인 정보
출생
1963년 2월 17일(1963-02-17) (56세)
뉴욕
국적
미국

198cm
몸무게
98kg
선수 경력
고등학교
엠슬리 A. 레이니 고등학교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드래프트
1984 / 1라운드 / 전체 3순위

시카고 불스에게 지명됨
프로 선수 경력
1984–2003
클럽 경력
선수
1984-1993
미국 시카고 불스
1994-1998
미국 시카고 불스
2001-2003
미국 워싱턴 위저즈
국가대표팀
1981-1992
미국 미국
수상 경력

  • 1984 NCAA AP 올해의 선수상

  • NCAA 존 R. 우든상(1984)

  • NCAA 네이스미스 올해의 대학선수상(1984)

  • 올림픽 금메달(1984, 1992)

  • NCAA AP 올 아메리칸 퍼스트팀(1983, 1984)

  • NBA 신인상(1985)

  • NBA 올스타게임 MVP(1988, 1996, 1998

  • NBA 올해의 수비상(1988)

  • NBA MVP(1988, 1991, 1992, 1996, 1998)

  • NBA 파이널 MVP(1991, 1992, 1993, 1996, 1997, 1998)

  • All-NBA 퍼스트팀(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6, 1997, 1998)

  • All-NBA 세컨드팀(1985)

  • NBA 올-루키 퍼스팀(1985)

  • NBA 올-디펜시브 퍼스트팀(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6, 1997, 1998)

  • NBA 위대한 50인 선정(1996)

  • 명예의 전당 헌액(2009)

  • 시카고 불스 23번 영구결번

  • 마이애미 히트 23번 영구결번[1]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23번 영구결번
























마이클 조던
Michael Jordan
버밍엄 바론스 No.45, 35

Jordan Scorpions.jpg

스카츠데일 스콜피언스 시절의 모습



기본 정보
국적
미국의 기 미국
생년월일1963년 2월 17일(1963-02-17) (56세)
출신지
뉴욕주 브루클린
신장198 cm
체중9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우투우타
수비 위치
외야수
프로 입단 연도
1994년
첫 출장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 1994년 4월 8일
마지막 경기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 1995년 3월 10일

경력

  • 버밍엄 바론스 (1994-1995)

  • 스카츠데일 스코어피언스 (1994)



마이클 제프리 조던(영어: Michael Jeffrey Jordan, 1963년 2월 17일 ~ )은 미국의 은퇴한 농구 선수이다. 약 120년에 이르는 농구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선수로 평가 받는다. 1984년부터 NBA 선수로 활동하였으며, 2003년 은퇴했고, 현재는 NBA 샬럿 호네츠와 NBA G 리그 그린즈버러 스웜 구단주이다.




목차





  • 1 어린 시절


  • 2 대학 시절


  • 3 1980년대 : 데뷔와 신인왕 등극, 이어지는 득점왕의 향연


  • 4 1990년대 : 1차 은퇴와 2번의 3연패, 최고의 전성기

    • 4.1 1차 쓰리핏 (1991년~1993년)


    • 4.2 1차 은퇴


    • 4.3 복귀와 2차 쓰리핏 (1995년~1998년)



  • 5 2000년대 : 2차 은퇴와 복귀, 그리고 황제의 마지막 시즌


  • 6 분석 및 평가

    • 6.1 인물 분석 및 평가



  • 7 조던의 자녀들


  • 8 외부 링크




어린 시절


1963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난 마이클 조던은 형 래리 조던의 반만큼만 농구를 잘하고 싶어했다. 그래서 그의 등번호를 래리 조던의 등번호 45번의 절반인 23번으로 하였다고 한다.



대학 시절


조던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문화지리학과에 입학하였다. 이유는 앞으로의 프로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원정하는 도시에 대해 알고 싶다는 것. 조던은 1학년 때 NCAA 결승전에서 조지타운 호야스와 맞붙는다. 당시 노스캐롤라이나에는 조던 외에 제임스 워디 (전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샘 퍼킨스 (전 시애틀 슈퍼소닉스) 등이 뛰고 있었고, 상대팀 조지타운에는 그 유명한 패트릭 유잉 (전 뉴욕 닉스, 현 조지타운 대학교 농구팀 감독)이 버티고 있었다. 승부를 가른 것은 조던의 첫 번째 '더 샷'. 조던은 이후 2, 3학년 때 연속으로 전미 최고 대학 선수 선발로 뽑혔고, NBA로 진출하게 된다.



1980년대 : 데뷔와 신인왕 등극, 이어지는 득점왕의 향연


1984년 1라운드 3번째로 시카고 불스에 지명된다. 데뷔 첫 해 NBA 코트를 강타한 마이클 조던은 프로 데뷔 경기인 워싱턴 불리츠(현 워싱턴 위저즈)와의 경기에서 저조한 야투율로 16득점에 그치지만, 이후 완벽하게 적응하여 시즌 평균 28.7점이라는 엄청난 득점력을 선보이며 신인왕을 차지하게 된다. 하지만 다음해 발목 부상으로 22경기 출전에 그치는등 약간의 슬럼프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그해 PO에서 엄청난 활약을 보이며 잠시 잊혀져 가던 그의 존재를 팬들 사이에 확실히 각인 시키게 되는 활약을 하게 되는데, 당 시즌 PO에서 당대 최강인 보스턴 셀틱스와 맞붙은 시카고 불스는 객관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조던의 대활약으로 선전 하게 된다. 이 시리즈에서 보스턴의 전설 래리 버드는 자신의 팀을 상대로 63득점을 올리는 등 신들린 듯한 활약을 펼친 조던에 대해 "신이 조던의 모습으로 변장 하였다" 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그 뒤 87년부터 득점왕을 차지하기 시작한 조던은 80년대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득점포를 선보이며 80년대 내내 득점왕을 차지하지만 그를 받춰줄만한 유능한 동료 선수의 부재로 팀을 우승으로 이끌지는 못했다.



1990년대 : 1차 은퇴와 2번의 3연패, 최고의 전성기



1차 쓰리핏 (1991년~1993년)


팀을 조던 위주로 개편한 시카고 불스. 조던의 보디가드였던 찰스 오클리를 내보내고 스카티 피펜, 호레이스 그랜트를 받아들인 불스는 전략 코치 텍스 윈터의 트라이앵글 오펜스가 완성되며 90년대 무적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1991년 NBA 결승전에서 80년대를 주름잡던 매직 존슨의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꺾고 팀 역사상 최초로 왕좌에 오른 불스는 1992년 클라이드 드렉슬러의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93년 찰스 바클리, 케빈 존슨의 피닉스 선즈를 꺾고 3연패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1차 은퇴


3연패의 기쁨도 잠시. 조던의 아버지(제임스 조던)가 10대 강도에게 살해당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조던은 곧 농구 은퇴를 선언하게 된다. 그리고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계약하고 마이너리그에서 뛰게된다.



복귀와 2차 쓰리핏 (1995년~1998년)


1995년 봄 다시 돌아오게 되지만 동부지구에서 불스의 위력은 많이 약해 있었다. 하지만 돌아온 조던을 중심으로 다시 팀은 재편되고, 악동 데니스 로드먼을 영입한 불스는 여전히 위력적인 조던을 앞세워 1996년 숀 켐프와 게리 페이턴의 시애틀 수퍼소닉스, 97년과 98년에는 칼 말론, 존 스탁턴 콤비의 유타 재즈를 꺾고 두 번째 3연패를 달성하게 된다.


그중 시카고 불스는 95-96 시즌 87.8% 엄청난 승률을 기록하며 리그 역대 최고 기록인 72승을 달성하게 되는데 82경기 하에 치러진 리그 개편 이래 현재까지도 70승 이상을 기록한 유일한 팀으로 기록되었었다.(15-16시즌 커리의 골든스테이트가 73승 9패로 정규시즌을 완주하면서 시카고불스의 최다승 기록은 깨졌다.) 당해에 팀은 리그의 상이란 상을 모조리 휩쓰는 괴력을 발휘하는데 시즌 MVP, 올스타전 MVP, 파이널 MVP 등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고 평균 30.4득점으로 득점왕에 오른 조던을 필두로 All-Defensive Team 에 조던, 피펜, 로드맨 3인방이 선정되며 리그 최강의 수비팀임을 입증 하였다. 또한 평균 14.9개로 리바운드 왕에 오른 로드맨과 식스맨상을 수상한 크로아티아 출신의 토니 쿠코치,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한 필 잭슨 감독 등 그 해를 완벽하게 시카고의 해로 만들게 된다. 또한 95-96 시즌부터 97-98 시즌 3연패 기간 동안 72승, 69승, 62승 등 3시즌 동안 도합 203승을 달성하는 괴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2000년대 : 2차 은퇴와 복귀, 그리고 황제의 마지막 시즌


두 번째 3연패 후 조던은 다시 은퇴를 선언하였지만 2000년 또 다시 복귀를 선언하며 자신이 구단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던 워싱턴 위저즈에 선수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에는 매스컴과 구단주의 압박이 있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2000년대 조던은 득점력을 줄이고 어린 선수들을 독려하는 역할을 했지만 팀은 생각만큼 정비되지 못하고, 조던은 2003년 마지막 은퇴를 발표하게 된다.
복귀한 2시즌 동안 비록 전성기에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40살의 나이에도 젊고 빠른 선수들을 상대로 평균 20득점을 퍼붓고, 최고령 50+득점(38세 315일, 51득점), 40세의 나이로 43득점을 기록하는 등 믿기 힘든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역시 '농구의 황제' 임을 입증하기도 하였다.



분석 및 평가



인물 분석 및 평가


마이클 조던은 NBA는 물론 세계 농구사를 통틀어 가장 위대하고 뛰어났던 선수로 평가받는다. 대부분의 다른 전설적인 농구선수, 전문가, 감독, 그리고 전 세계 팬들이 그렇게 평가를 하고 있으며 더불어 NBA의 최고 부흥기를 이끈 주인공이기도 하다.
조던의 전 세계적인 부상에는 본인의 최고 수준 실력 외에도 때마침 세계화를 꿈꾼 NBA의 트렌드와 조던과 떼어 놓을 수 없는 관계가 되어버린 나이키의 역할이 컸다. 80년대 초반 자신이 런칭한 조던운동화가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 였던 조던 은 농구화를 발판삼아 세계 제1의 스포츠 브랜드로 자리잡았으며, 매직 존슨과 레리 버드에 힘입어 성장한 NBA는 조던을 통하여 전 세계에 실력을 뽐낼 수 있었다.


공격: 조던은 NBA 60년 사상 최고의 공격수 두 명 중 하나이다. 다른 한 명은 윌트 체임벌린. 조던의 강점은 그가 활약하던 시기에 매치업 상대보다 큰 사이즈를 갖췄으면서도 오히려 그들을 압도하는 스피드를 갖추는 등 탁월한 신체 능력에 있다. 80년대 데뷔한 2번(슈팅가드)치고는 엄청난 198cm에 어마어마한 탄력을 바탕으로 항상 상대 수비수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 신이 내린 가장 완벽한 몸매와 공중에서의 완벽한 신체 밸런스 유지 능력 또한 그의 공격력을 배가시킨 요인이다. 둘째로 조던은 역사상 가장 다양한 공격 루트를 뽐내는 선수였다. 기본적으로 내외곽에서 안정적인 점프슛을 날릴 수 있으며, 드리블 & 풀업 점프 슛, 드라이브 인 덩크 또는 더블 클러치, 환상의 뱅크 슛, 베이스라인 돌파와 페이드 어웨이, 턴어라운드 페이드 어웨이 등 일일이 나열하기도 힘든 공격 루트인데 조던은 이 모든 것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던의 공격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퍼스트 스텝이다.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폭발적인 퍼스트 스텝은 수비수들을 슬로우 비디오로 멈춘 듯한 모습을 띠게 한다.
한편 조던은 왼쪽으로 돌파하는 것을 즐겼는데, 97년도 인디애나 페이서스의 스카우팅 리포트에 따르면 "왼쪽, 오른쪽 상관없이 수비를 제칠 수 있겠지만 왼쪽으로 돌파하는 것을 상대적으로 선호하기 때문에 그를 불쾌하게 하기 위해서는 오른쪽으로 돌파하도록 강요하는 것이 필요하다" 라고 한다.


수비: 조던이 인정받는 것은 공격력과 함께 역대 최고 수준의 수비 실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대학 시절 은사인 딘 스미스가 항상 수비를 강조해 조던은 대학 시절 수비 기본기를 탄탄히 갖추게 됐고, 이것이 프로 시절에도 큰 자산이 됐던 것이다. 무릎을 굽히고, 허리를 낮추고, 상대 눈과 손을 주시하는 그의 수비는 상대 공격수를 질식시킬 수준이다. 80년대 그와 함께 최고의 공격수였던 도미니크 윌킨스가 상대적으로 평가 절하됐던 것은 형편없는 수비 실력 때문이었다.


그외: 조던이 강한 것은 육체적 강인함과 함께 정신적 강인함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다. 친구와의 사소한 내기에도 기필코 이기려고 하는 그의 승부욕은 프로에 와서 이겨야 하는 경기는 꼭 이기고야 마는 결과물로 나타나게 됐다. 여기에 코트 밖에서야 어떻든 코트 위에서는 동료들의 사기를 돋우는 그의 능력으로 시카고 불스는 장기간 최고의 팀으로 군림할 수 있었다.


동시기에 플레이한 '먹시' 보그스는 "내 생각에 조던은 농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다. 조던만큼 정신적으로 강인한 사람을 만나본 적이 없다" 라고 할 만큼 승부욕과 정신적인 강인함은 조던을 지금의 자리에 있게 만들었다.



조던의 자녀들


마이클 조던의 자녀(2남3녀)들은 전 부인 주아니타 바노이 사이에서 장남인 제프리 조던(Jeffrey Jordan), 차남인 마커스 조던(Marcus Jordan) 그리고 장녀인 쟈스민 조던 (Jasmine Jordan)이 있으며, 현 부인 쿠바계 미국 모델 이베트 프리에토 사이에서 2014년 2월 9일 일란성 여아쌍둥이를 출산했으며, 이름은 빅토리아 조던,이사벨 조던이다



외부 링크






  • NBA History: Jordan bio


  • (영어) 마이클 조던 - NBA.com


  • (영어) 마이클 조던 - NBA.com


  • (영어) 마이클 조던 - Basketball-Reference.com


  • (영어) 마이클 조던 - DatabaseBasketball.com


  • (영어) 마이클 조던 - 미국 농구 명예의 전당


  • (영어) 마이클 조던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 (영어) 경력 통계와 선수 정보 - The Baseball Cube,  Baseball-Reference (Minors)

  • Michael Jordan Motorsports



  1. 마이애미 히트에서 선수 생활한 적은 없지만 존경하는 의미로 영구결번이 되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이클_조던&oldid=23865252"










둘러보기 메뉴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668","walltime":"0.830","ppvisitednodes":"value":18931,"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65439,"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34266,"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20,"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83,"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729.977 1 -total"," 80.15% 585.098 3 틀:Infobox"," 66.34% 484.297 1 틀:농구_선수_정보"," 47.54% 347.041 496 틀:정보상자/행"," 8.96% 65.395 1 틀:야구_선수_정보"," 7.02% 51.223 1 틀:위키공용분류"," 6.32% 46.156 1 틀:Sister"," 5.90% 43.073 1 틀:사이드_박스"," 5.58% 40.738 28 틀:BaseballColor"," 5.17% 37.760 2 틀:Wikidata_image"],"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76","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3792930,"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64","timestamp":"20190329070436","ttl":3600,"transientcontent":tru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989,"wgHostname":"mw1264"););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រឿង រ៉ូមេអូ និង ហ្ស៊ុយលីយេ សង្ខេបរឿង តួអង្គ បញ្ជីណែនាំ

QGIS export composer to PDF scale the map [closed] Planned maintenance scheduled April 23, 2019 at 23:30 UTC (7:30pm US/Eastern) Announcing the arrival of Valued Associate #679: Cesar Manara Unicorn Meta Zoo #1: Why another podcast?Print Composer QGIS 2.6, how to export image?QGIS 2.8.1 print composer won't export all OpenCycleMap base layer tilesSave Print/Map QGIS composer view as PNG/PDF using Python (without changing anything in visible layout)?Export QGIS Print Composer PDF with searchable text labelsQGIS Print Composer does not change from landscape to portrait orientation?How can I avoid map size and scale changes in print composer?Fuzzy PDF export in QGIS running on macSierra OSExport the legend into its 100% size using Print ComposerScale-dependent rendering in QGIS PDF output

PDF-ში გადმოწერა სანავიგაციო მენიუproject page